안녕하세요! 오늘은 많은 직장인분들이 헷갈려 하시는 4대 보험료 계산 방법과 무료 계산기 이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.
월급명세서에 빠져나가는 금액을 볼 때마다 ‘도대체 얼마나 내고 있는 걸까?’ 궁금하셨던 분들, 이번 글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 😊
4대 보험이란?
‘4대 보험’은 우리나라 근로자가 가입해야 하는 사회보장 제도 네 가지를 말해요. 각각의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모두 중요한 제도랍니다.
-
국민연금 : 은퇴 후 노후자금을 받을 수 있는 제도예요. 매달 일정 금액을 납부하면, 나중에 연금 형태로 돌려받을 수 있어요.
-
건강보험 : 병원비나 약값 부담을 줄여주는 의료 지원 제도예요. 직장가입자의 경우 장기요양보험료도 함께 부과돼요.
-
고용보험 : 실직 시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고, 직업훈련비나 고용안정 지원금도 받을 수 있어요.
-
산재보험 : 근무 중 사고나 질병이 발생했을 때 치료비, 휴업급여 등을 보장해주는 제도예요.
이 네 가지를 모두 합쳐 ‘4대 보험’이라고 부른답니다.
4대 보험료는 어떻게 계산될까?
4대 보험료는 기준소득(월급)을 바탕으로 일정 비율이 자동 공제돼요.
직장인이라면 회사와 근로자가 각각 일부씩 부담하게 됩니다.
예를 들어볼게요.
-
국민연금 : 9% 중 절반인 4.5%를 본인이 부담해요.
-
건강보험 : 7.09% 중 절반인 3.545% 정도를 본인이 부담해요.
-
고용보험 : 평균 0.9~1.6% 정도이며, 일부 항목은 회사 부담이에요.
-
산재보험 : 100% 사업주 부담이랍니다.
즉, 월급이 높아질수록 4대 보험료도 함께 늘어나요.
4대 보험 무료 계산기 이용 방법
요즘은 직접 계산하지 않아도 무료 4대 보험 계산기를 통해 간단히 확인할 수 있어요.
대표적인 계산기 사이트들을 소개할게요.
🔹 국민건강보험공단 4대 보험 모의계산기
-
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접속
-
민원신청 → 보험료 모의계산 → 4대 사회보험 통합계산기 클릭
-
월급만 입력하면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산재보험 금액이 한 번에 계산돼요.
🔹 고용노동부 고용보험 계산기
-
고용보험 공식 홈페이지 접속
-
실업급여 계산 외에도 고용보험료를 미리 계산할 수 있어요.
-
특히 고용보험 실업급여 신청방법을 함께 확인하면 더욱 유용해요.
🔹 민간 포털 사이트
‘4대 보험 계산기’로 검색하면 다양한 무료 계산기가 있어요.
예를 들어 3.3%닷컴, 보험다모아 같은 곳에서도 간단히 이용할 수 있답니다.
연봉 또는 월급만 입력하면 예상 금액이 바로 나와요!
계산기 이용 시 유의사항
-
세전 월급 기준으로 입력해야 정확해요.
-
연봉제 / 월급제 선택란이 있다면 본인 급여 형태에 맞게 입력해야 해요.
-
실제 납부액은 회사 형태나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.
따라서 계산 결과는 참고용으로 보시고, 실제 금액은 급여명세서나 회사 인사팀에서 확인하는 게 가장 정확합니다.
알아두면 좋은 팁
4대 보험료는 단순히 빠져나가는 돈이 아니라 나와 가족의 안전망이에요.
특히 고용보험은 실업 시 큰 도움이 되니, 고용보험 실업급여 신청방법도 꼭 알아두세요.
이 제도를 제대로 활용하면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도 든든하게 대비할 수 있답니다.
매달 빠져나가는 4대 보험료, 알고 보면 나를 지키는 최소한의 사회보장비용이에요.
무료 계산기를 활용해 내 급여 기준으로 정확히 확인해보시고,
앞으로의 재무계획을 세우는 데 꼭 도움 받으시길 바랄게요 😊
0 댓글